중국 상무부가 조만간 갈륨·게르마늄 공급 업체들과 실무 논의에 들어갑니다. <br /> <br />다음 달부터 시행되는 수출 통제를 준비하기 위한 건데, 핵심은 당국의 승인 또는 거부 권한입니다. <br /> <br />전면적 수출 금지가 아니라, 국가 안보와 이익을 기준으로 '선별적 공급'을 하겠단 뜻입니다. <br /> <br />[왕원빈 / 중국 외교부 대변인 : 갈륨·게르마늄 관련 항목은 군수·민수 겸용 속성을 지녀서 이에 대한 수출 통제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관행입니다.] <br /> <br />영문 관영지 글로벌타임즈는 미국과 그 동맹국들이 중국의 경고를 들어야 한다며 속내를 드러냈습니다. <br /> <br />희귀 자원을 무기 삼아 서방 세계 분열을 유도하고, 길들이기를 시도하려는 겁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중국의 게르마늄 매장량은 세계 2위로 오히려 미국에 못 미칩니다. <br /> <br />지금은 중국이 독점하는 갈륨 생산량(94%)도 향후 얼마든지 판도가 바뀔 수 있다는 평가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조치가 서방 세계의 '탈중국화'를 앞당기는 '양날의 검'이 될 수 있단 걸 중국도 잘 압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도 '자원 무기화'의 칼을 뽑은 건, EU가 말하는 '디리스킹'이 본질상 미국의 '디커플링'과 다르지 않아서 더 눈치 볼 필요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[리창 / 중국 총리 (지난달 27일) : 서방의 일부 사람들은 이른바 (중국) 의존도를 낮추고 위험을 제거한다(디리스킹)는 말을 만들어 냈습니다. 이건 그야말로 거짓 명제입니다.] <br /> <br />중국은 다음 주로 예정된 EU 외교 수장의 방문 일정도 일방적으로 취소 통보했습니다. <br /> <br />2021년 미국 제재에 맞대응 차원에서 만든 '반제재법'에 더해 새롭게 '대외관계법'을 제정한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. <br /> <br />이제는 반격을 넘어 먼저 제재를 가할 수 있다는 내용이 골자인데, 자칫 미중 간 난타전으로 번질 우려가 제기되는 대목입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편집 : 고광 <br />그래픽 : 지경윤 <br />자막뉴스 : 박해진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0706024243521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